음식물을 통해 섭취된 Iodine이 I- 형태로 혈액을 통하여 갑상선에 흡수되어 Peroxidase에 의하여 활성화 형태인 I2로 된다. T3는 과산화효소에 의한 산화반응을 통하여 MIT와 DIT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갑상선 글로불린에 붙어 있는 Tyrosine base에 Iodine이 1개 붙은 것이 MIT, Iodine이 2개 붙은 것은 DIT이다.
일단 생성된 T3는 갑상선글로불린에 결합된 상태로 갑상선 여포성관강내에 저장되고, TSH자극에 의하여 새포내로 들어가서 Lysosome내의 여러 효소에 의해 단백분해가 일어나 갑상선글로불린으로부터 분리된 후, TBP(TBG, TBPA, Albumin)와 결합되어 혈액내로 분비된다. 갑상선 옥소섭취, 호르몬 합성, 분비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갑상선자극호르몬(TSH)에 의해 조절되며, 반대로 TSH분비는 혈액의 T3, T4농도에 따라 조절되는 Negative feedback기전에 의하여 항상성을 유지한다.
특성 : 혈액에 있어서 대부분 TBG와 결합하여 있고 전체의 약 2%인 극히 일부분이 유리 T3로 존재한다.
Hormonal activity T3 > T4
T3 RIA
TBP에 붙어 있는 T3를 분리시켜 모두 FT3로 만든 뒤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원을 경쟁적으로 반응시키고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RIA method이다.
자동화장비, Multi-mixer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Coated tube를 준비한다. | ||
각 Tube에 50㎕넣는다. | |||
모든 Tube에 125-I-T3 1000㎕씩 분주한다. | |||
- |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 ||
물로 세척(3~4번)한다. | |||
1분 동안 감마선계측기에 계측한다. |
검사실시 전후에 장비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D.W나 세척액이 충분한지 확인한다.
76∼190 ng/dl
T3가 증가하는 질환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 TBG증가증(임신,선천적 TBG과다증)이며, 감소는 갑상선기능저하증, TBG감소증, 저 T3증후군 등이다. 혈청T3와 혈청T4는 보통 일률적으로 올라가고 내려간다. 그러나 T3중독증에 있어서는 총T4와 유리T4는 정상인 반면에 T3만 올라가게 된다. T3중독증은 그레이브스병, 중독증 선종이나 독성 결절갑상선종 환자들에게서 나타난다. T3는 또한 T4를 능가한다. 옥소가 결핍된 상황에서 갑상선은 정상 갑상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에 있어 갑상선은 T4보다는 세포적으로 더 활성이 있는 T3를 다량으로 생산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T3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더 정확한 지표가 된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환자의 약 90%정도에서 T3와 T4가 높게 나오지만 T3상승은 불균형을 나타낼 수 있다. 몇몇 갑상선기능 저하증 환자에 있어 T3는 정상범위 내에서 다소 낮은 치를 보일 수 있는데 진단적으로는 중요하지 않다. 임신 중에는 정상적으로 혈청 T3가 올라간다. 낮은 T3는 계통적인 질병(특히 간이나 신장질환)환자들과 중증의 급성질환을 앓고 있는 갑상선 정상인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에게서는 TSH가 정상범위 내에 들어있다.
T4는 T3와 같은 경로로 생성되는데 T3는 MIT와 DIT가 결합한 것을 T4는 DIT가 서로 연결 결합된 것을 말한다. 혈액에 존재하는 T4는 대부분이 티록신 결합단백(TBP)과 결합하여 있고 그 전체의 약 0.02%가 유리형 T4로 존재한다. TBG에 결합된 T4와 생리적으로 활동적인 유리 T4를 모두 측정한 결과이므로 갑상선에서 T4의 분비능의 변화 이외에도 TBG자체의 변동과 TBG에 T4가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는 여러 인자에 의해서 측정 결과에 영향을 받는다.
T4 RIA
TBP에 붙어 있는 T4를 분리 시켜 모두 FT3로 만든 뒤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원을 경쟁적으로 반응시키고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RIA method이다.
자동화장비, Multi-mixer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Coated tube를 준비한다. | ||
각 Tube에 20㎕넣는다. | |||
모든 Tube에 125-I-T4 1000㎕씩 분주한다. | |||
- |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 ||
물로 세척(3~4번)한다. | |||
1분 동안 감마선계측기에 계측한다. |
지나친 용혈은 정확한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유전성 인자와 몇몇 간질환은 TBG농도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단백질소모성 질환과 안드로겐은 또한 TBG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래서 TBG치는 전체 T4치의 정확한 측정을 간섭할 수 있다.
5.9 ∼ 12.5 ng/dl
T4가 증가하는 질환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 TBG증가증(임신, 선천적 TBG과다증)이며, 감소는 갑상선기능저하증, TBG감소증 등이다. TBG증가(에스트로겐이나 경구피임약제 투여)를 초래하는 질환에서는 높은 T4치를 보인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T4치는 1차와 2차 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 보이고 반대로 정상치 이하의 측정치는 1차나 2차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나타낸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TSH측정을 하거나 TRH검사를 하도록 한다.
그러나 정상 T4치는 갑상선기능정상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T3중독증에 있어서도 정상치를 보이고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몇 명의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명백한 징후가 있으면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 TBG에 결합된 T4와 생리적으로 활동적인 유리 T4를 모두 측정한 결과이므로 갑상선에서 T4의 분비능의 변화이외에도 TBG자체의 변동과 TBG에 T4가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는 여러 인자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즉 혈중T4는 TBG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TBG가 증가할 경우에는 증가하고 감소할 때는 감소한다.
따라서 TBG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호르몬, 약물에 대해서도 변동한다.
또한 T4와 TBG의 결합을 저해하는 약물(Diphenyl hydantoin,salicylate등)의 투여로 T4는 감소한다.
TSH는 시상하부의 TRH에 의해 분비가 촉진된다. 이 TRH에 의한 자극은 갑상선 호르몬이의 혈중농도가 높아서 TSH분비 억제되고 있을 때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TSH는 갑상선호르몬의 혈중농도에 의한 feedback기전으로 뇌하수체 전엽의 β세포(Thyrotroph)에서 분비된다. 분비된 TSH는 갑상선 I2섭취, Thyroglobulin합성과 가수분해, 갑상선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한다.
TSH
항체가 피복된 Tube에 검체인 항원과, 항체가 표지된 동위원소를 비경쟁적으로 결합시킨 고형상법으로써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IRMA method이다.
장동화 장비, Multi mixer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Coated Tube를 준비한다. | ||
각 Tube에 200㎕넣는다. | |||
모든 Tube에 125-I-TSH 100㎕씩 분주한다. | |||
- |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 ||
물로 세척(3~4번)한다. | |||
1분 동안 감마선계측기에 계측한다. |
갑상선 항원에 대한 자가면역반응이 일어나면 갑상선에 자가면역 병변이 생긴 것으로 해석되고, 정상인에서도 고령자에서 양성률이 증가한다. 나이 어린 환자에서 TG Ab, TM Ab의 높은 역가를 보이는 단단한 결합의 갑상선종은 Hashimoto's disease(Chronic lymphomonocytic thyroditis)를 시사하는 바가 높다. 이러한 갑상선종은 점차적으로 약해져서 갑상선 기능 저하로 되어간다. 높은 역가를 보이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는 치료 후 오랜 기간 동안에 대단히 민감하게 갑상선 기능 저하로 발전됨을 나타낸다. 특발성 성인 점액수종에서도 양성률이 크며, 어느 질환도 치료를 하면 항체가는 감소된다.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갑상선 자가 면역 질환이 더 빈번히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폐경기에 더 명백하다.
갑상선 위축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같은 만성갑상선염에서 역가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다.
Tyroglobulin은 갑상선 여포 colloid의 주성분으로 분자량은 약 65만 Dalton인 가용성 당단백으로 정상혈청에도 10∼40ng/ml로 존재하는 혈청단백성분의 하나이기도 하다. TG Ab는 TG에 대한 장기 특이 자가 항체로 보체 결합성이 약하므로 직접적인 세포장애 작용은 없다.
Anti-TG
검체 항체의 Fc subunit에 Protein-A와 방사성동위원소가 표지된 항원인 Thyroglobulin이 동시에 결합하는 Radio ligand assay법으로 Sandwhch-type complex의 형태를 보여준다.
Gamma counter, Manual pipette(50ul, 1ml), Hamilton, Centrifuge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plain tube에 각각 50㎕씩 분주한다. | ||
모든 tube에 Protein-A Suspension를 50㎕씩 분주한다. | |||
모든tube에 Tracer를 50㎕씩 분주한다. | |||
- | Multi-tube vortexer에서 잘 혼합한다. | ||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다. | |||
모든 tube에 Buffer B를 1000㎕씩 분주한다. | |||
Muti-tube vortexer에서 잘 혼합한다. | |||
2000g로 15분 동안 centrifuge한다. | |||
상층액을 엎은 후 5-10분간 흡수지 위에 엎어두거나, 또는 즉시 상층액을 흡인한다. | |||
1분동안 감마선 계측기에 계측한다. |
갑상선 항원에 대한 자가면역반응이 일어나면 갑상선에 자가면역 병변이 생긴 것으로 해석되고, 정상인에서도 고령자에서 양성률이 증가한다. 나이 어린 환자에서 TG Ab, TM Ab의 높은 역가를 보이는 단단한 결합의 갑상선종은 Hashimoto's disease(Chronic lymphomonocytic thyroditis)를 시사하는 바가 높다. 이러한 갑상선종은 점차적으로 약해져서 갑상선 기능 저하로 되어간다. 높은 역가를 보이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는 치료후 오랜 기간 동안에 대단히 민감하게 갑상선 기능 저하로 발전됨을 나타낸다. 특발성 성인 점액수종에서도 양성률이 크며, 어느 질환도 치료를 하면 항체가는 감소된다.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갑상선 자가 면역 질환이 더 빈번히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폐경기에 더 명백하다.
갑상선 위축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같은 만성갑상선염에서 역가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다.
항갑상선 Microsome 항체는 갑상선 상피세포의 Microsome 분획에 대한 항체이다. Microsomal Ab는 보체 결합성이 크기 때문에 세포 장애 작용이 있다.
Anti-TPO
검체 항체의 Fc subunit에 Protein-A와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지된 항원인 Thyroid peroxidase가 동시에 결합하는 Radio ligand assay법으로 Sandwhch-type complex의 형태를 보여준다.
Gamma counter, Manual pipette(50ul, 1ml), Aspirator, Centrifuge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plain tube에 각각 50㎕씩 분주한다. | ||
모든 tube에 Protein-A Suspension를 50㎕씩 분주한다. | |||
모든 tube에 Tracer를 50㎕씩 분주한다. | |||
- | Multi-tube vortexer에서 잘 혼합한다. | ||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다. | |||
모든 tube에 Buffer B를 1000㎕씩 분주한다. | |||
Muti-tube vortexer에서 잘 혼합한다. | |||
2000g로 15분 동안 centrifuge한다. | |||
상층액을 엎은 후 5-10분간 흡수지 위에 엎어두거나, 또는 즉시 상층액을 흡인한다. | |||
1분 동안 감마선 계측기에 계측한다. |
Hashimoto 병을 포함한 만성 갑상선염에서는 양성의 예가 많고 양성률은 약 80%이다. Graves 병에서는 70% 전후의 양성률을 보인다. 나이 어린 환자에서 TG Ab, TM Ab의 높은 역가를 보이는 단단한 결합의 갑상선종은 Hashimoto's disease(Chronic lymphomonocytic thyroditis)를 시사하는 바가 높다. 이러한 갑상선종은 점차적으로 약해져서 갑상선 기능 저하로 되어간다. 높은 역가를 보이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는 치료후 오랜 기간 동안에 대단히 민감하게 갑상선 기능 저하로 발전됨을 나타낸다.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갑상선 자가 면역 질환이 더 빈번히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폐경기에 더 명백하다.
갑상선 위축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같은 만성 갑상선염에서 역가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다.
남자에서 갑상선 중독증은 자가면역질환과 함께 관련된다. 자가면역 특징은 임상적인 증후군(갑상선종, 갑상선 기능 항진증, 눈과 피부의 징후)에 자가 Graves' disease가 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부터 Graves' disease로 발전한 환자는 갑상선세포에서 의해 TSH 영향과 Adenylate cyclase의 만성적인 자극으로 TBI(Thyrotropin-receptor)에 의해 기인한다. Graves' disease가 발전된 임신한 환자는 태반으로부터 자가항체가 이동할 수 있다. 엄마의 TBI Ab 역가가 높으면, 유아가 자궁에서 Graves' disease로 발전될 위험이 더 크고, 선천적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일으키게 된다.
TRAK-Assay
검체내의 TSH recepter Ab 와 TSH recepter를 반응시킨 후 동위원소가 표지된 125I-TSH를 첨가한다. 125I-TSH는 반응하고 남은 TSH recepter와 결합하는 Radio-receptor assay방법이다.
Gamma counter, Pipette, Hamilton, Aspirator, Centrifuge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plain tube에 각각 50㎕씩 분주한다. | ||
모든 tube에 recepter를 50㎕씩 분주한다. | |||
실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다. | |||
모든 tube에 Tracer를 100㎕씩 분주한다. | |||
- |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다. | ||
모든 tube에 Buffer B를 2000㎕씩 분주한다. | |||
Muti-tube vortexer에서 잘 혼합한다. | |||
2000g로 20분 동안 centrifuge한다. | |||
상층액을 엎은 후 5-10분간 흡수지 위에 엎어두거나, 또는 즉시 상층액을 흡인한다. | |||
1분 동안 감마선 계측기에 계측한다. |
Graves' disease의 70%가 양성을 보이고, Hashimoto 갑상선염, 일차성 점액수종에서도 검출된다. 항 갑상선제로 치료할 경우 치료 시작 3개월 이후부터 TSH receptor Ab의 역가가 감소되며 환자에서 TSH receptor Ab가 소실된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좋은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T3섭취율은 TBG 및 T4에 의해서 변화하므로 측정값을 해석할 때는 2개의 인자를 고려해야 한다. 또 TBG와 T4의 결합저해제(salytin제 등)의 사용 시는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T3UP-TAKE
Triiodothyronine섭취율(T3U)은 혈청에 일정량의 125I-T3를 가하고 갑상선호르몬에 의해 포화되지 않은 Thyroxine binding protein(TBP)의 불포화 부분을 포화시키고 남는 유리 125I-T3가 Tube의 항체와 결합한 것을 측정한다. 불포화량으로 간접적으로 TBP에 이전에 결합된 갑상선호르몬의 양을 구하는 상대적인 갑상선기능 검사법으로 포화분석법이다.
Gamma counter, Shaker, Pipette(25ul), 연속분주기(1000㎕)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Coated tube를 준비한다. | ||
각 Tube에 25㎕넣는다. | |||
모든 Tube에 125-I-T3 1000㎕씩 분주한다. | |||
- |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 ||
물로 세척(3~4번)한다. | |||
1분 동안 감마선계측기에 계측한다. |
25∼37% T3U
갑상선호르몬은 혈액내에서 티록신결합단백(TBG, TBPA, albumin)에 결합하여 순환한다. 이때 TBG의 결합능이 일정하다면 TBG에 결합된 갑상선호르몬의 양은 갑상선의 기능상태와 비례하고, 반면 TBG중 갑상선호르몬이 결합하고 남은 여백은 갑상선기능과 반비례한다. 증가하는 경우는 갑상선기능항진증, TBG감소, 중증신장질환, 간질환, 신생아이며, 감소하는 경우로는 갑상선기능저하증, TBG증가증, 임신 등이 있다. 즉, 높은T4치를 나타내면서 높은 T3U를 보이면 갑상선기능항진증을 나타낸다. 그리고 T3U이 낮으면서 낮은 T4치를 보이면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나타낸다. 더 많은 TBG 유리 결합부위와 낮은 FT4치를 뜻한다. 그래서 갑상선기능의 일차적인 질환에 있어서 T4와 T3U는 같은 방향으로 변화되어 측정된다. T4와 T3U의 측정값이 같은 방향으로 보이지 않으면 TBG의 이상을 지적해 준다. 예를 들어 높은 T3섭취율과 낮거나 정상인 FT4치는 TBG치를 감소시킨다. 그렇게 감소되는 이유는 단백질소실이 원인일 수 있고 신증후군과 생산의 감소가 원인이 될 수 있다. 거꾸로 T3섭취율이 낮고 FT4치가 높거나 정상일 때는 TBG치를 상승시킨다. 그러한 높은 측정치는 외인성이나 내인성(임신)으로 나타날 수 있고 원발성 원인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T3섭취율 단독검사로는 갑상선기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곤란하므로 다른 갑상선 기능검사와 함께 검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TBP의 불포화량(T3U)은 혈중 갑상선호르몬농도뿐 만 아니라 TBP양에 의해서도 변한다. 외인성 125I-T3의 TBP에의 결합은 여러 가지 약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3U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에서 증가하고, 저하증에서 감소한다.
선천성TBG결손증, Androgen치료, 중증 간질환 등에서는 혈중 TBG는 감소하지만 T3U는 증가치를 보인다.유전성 TBG증가증, 임신, Estrogen치료 등 혈중TBG의 증가에 따라 감소치로 된다. Salicylic acid, Phenytoin, Butazolidin, Penicilin 등의 약물은 결합저해의 결과 T3U를 증가시킨다.
Thyroglobulin(TG)은 Iodine이 함유된 당단백으로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의 조절을 받아 갑상선여포내 및 혈중으로 분비된다. Lodo-amino산으로써 Monoiodotyrosine 4.9, Diiodotyrosine1.9, T3 0.2 및 T4 1.0mol/mol TG를 함유하여 모든 Iodine량은 0.25%/protein이다. 당성분으로는 Galactose 50, Mannose 130, N-acetylhexosamine 127, Sialicacid 23 및 Fucose 21 mol/molTG를 함유하여 전체 당량은 9.4%/protein이다.
Thyroglobulin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체를 비경쟁적으로 반응시켜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IRMA method이다.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연속분주기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Coated tube를 준비한다. | ||
각각 50㎕넣는다. | |||
Buffer를 200㎕넣는다. | |||
실온에서 2시간 동안 흔들어 준다. | |||
세척액으로 2회 세척한다. | |||
모든 Tube에 125-I-TG 250㎕씩 분주하고 mix한다. | |||
- | 실온에서 18~2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 ||
물로 세척(3~4번)한다. | |||
1분 동안 감마선계측기에 계측한다. |
0.1∼25 ng/ml
갑상선글로불린은 갑상선상피세포에서 합성되는 당단백질로 분자내에 4개의 펩티드 사슬을 갖고 있다. 갑상선의 여포세포내에서 I2가 페록시다제에 의해 산화되고 갑상선글로불린에 있는 티로신에 부착되어 MIT, DIT을 형성하고, 중합되어 T3, T4로 된다. 종래 TG는 갑상선 여포내에만 존재하여 혈중에서 측정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RIA의 개발로 정상인의 혈중에 TG가 존재할는 사실이 알려졌다. TG는 갑상선의 정상적인 분비성분이며, TSH의 조절을 받고 있는 사실도 시사되고 있다. 중요한 것은 갑상선암에서 혈중 TG농도가 상승하여 수술 후에는 정상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래서 혈중 TG농도와 갑상선암의 관계가 주목되고, 혈중 TG측정의 목적은 갑상선 종양 및 전이의 진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TG의 상승은 갑상선암에 특이적이지는 않다. 갑상선 분화암을 가진 대부분의 증례에서 혈중TG는 고치로 되나 반면 갑상선 수양암 및 미분화암에서는 TG합성능이 없어 혈중 TG는 상승하지 않는다.
그러나 갑상선종, Basedow병 및 아급성갑상선염에서도 상승되며 이점에 있어서 TG는 갑상선 분화암의 Marker라고는 할 수 없다. 다음으로 갑상선 분화암의 치료와 TG농도 관계를 보면 갑상선 적출에 이어 방사선 요오드요법을 실시하고 전이가 나타나지 않는 증례에서는 혈중 TG농도가 정상이거나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이가 보이는 증례에서는 수술 후에도 혈중 TG가 고치로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수술후 갑상선 분화암의 재발 또는 전이 병소의 Marker로서 TG의 임상적 유용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현재 혈중 TG농도 측저의 가장 중요한 의미도 여기 있다고 할 수 있다. 혈중 TG농도가 상승되는 질환 또는 상태로는 갑상선분화암, 갑상선분화암의 수술후 재발 또는 전이병소가 있는 경우, 갑상선종양, 아급성갑상선염 등이 있다.
갑상선호르몬 중 티록신은 혈액 중에서 그 대부분이 결합단백질(Binding protein)에 결합되어 순환하고 그중 일부분이 유리형으로 존재하는데 이는 전체 티록신(Total T4)의 0.02%를 차지한다. 미량이지만 직접활성을 갖고 있어 유리 T4의 측정은 갑상선 기능 진단에 유용하다.
Free T4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원을 경쟁적으로 반응시켜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RIA method이다.
검체 : Serum
Gamma counter, Shaker, Pipette, Hamilton, Multi mixer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피복된 Tube에 각각 100㎕분주한다. | ||
모든 Tube에 Buffer 1㎖씩 분주한다. | |||
실온에서 30분동안 흔들어 주고 내용물을 완전히 제거한다(NO Washing) | |||
모든 Tube에 125I-FreeT4를 1㎖씩 분주한다. | |||
- | 실온에서 1시간 동안 흔들어 준다. | ||
내용물을 완전히 제거한다.(NO Washing) | |||
감마선 계측기로 1분 동안 계측한다. |
0.8∼2.0 ng/dl
증가를 보이는 질환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고 감소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다. 혈중 TT4는 TBP 특히 TBG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 중 FT4농도는 세포 내에서의 갑상선기능상태를 그것도 TBG증가증이나, 감소증을 합병하고 T4농도가 이상을 보일 때에는 갑상선기능을 가장 잘 반영한다. 혈중 T4는 TBG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TBG가 증가할 경우에는 증가하고, 감소 할 때는 감소 한다. 따라서 TBG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Hormone, 약물에 의해서도 변동한다. 또한, T4와 TBG 결합을 저해하는 약물(Diphenyl hydantoin, salicylate 등)의 투여로 T4는 감소한다. 즉, 임신이나 Estrogen의 투여, 만성활동성 간염에서는 TBG증가를 유도하여 혈중TT4농도는 증가하지만 FT4는 증가하지 않고 갑상선기능을 잘 나타낸다.
그리고 고령자 또는 악성종양, 간 경변증, 만성신부전, 당뇨병, 저단백혈증 등의 중증 소모성 질환 환자에서는 낮은 치로 된다. 그러나 여기에다 기능 항진증이 합병하면 말초에서의 T4에서 T3로의 전환이 억제되어 TT4, FT4는 다 같이 증가치, T3는 정상 내지 감소치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좋은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좋은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좋은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정상인에서는 혈중 T3의 30%는 갑상선에서 분비되고 70%는 말초조직에서 2분자의 Deiodinase에 의해 T4로부터 전환된다. 이 탈 Iodine효소는 각각의 표적세포에서 T4의 대사를 조절하여 갑상선 호르몬의 생리작용을 발현한다. T3의 대부분은 혈중에서 TBG와 결합하여 세포내로 이행해서 실제로 생물학적 작용을 발휘하는 유리형 Triiodothyronine(FT3)은 0.3∼0.4%에 지나지 않는다.
Free T3
Test tube에 피복된 항체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원을 경쟁적으로 반응시켜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RIA method이다.
검체 : Serum, 2∼8℃ 2일 이내, -20℃ 냉동보관(2일 이상)
Gamma counter, Shaker, Pipette(50㎕), 연속분주기(1000㎕), Multi mixer
Total | Standard | Control | Sample |
---|---|---|---|
- | 피복된 tube에 50㎕씩 각각 분주한다. | ||
모든 tube에 125I-FT3를 1000㎕씩 분주하고 mix한다. | |||
- | 실온에서 2시간 동안 흔들어 준다. | ||
내용물을 버린다. | |||
감마선계측기로 1분동안 계측한다. |
2∼4.25 pg/ml
증가를 보이는 질환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고 감소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다. 갑상선기능 항진증에서는 혈중 TT3에 비하여 FT3의 증가는 현저하고 T3/T4비는 정상인에 비하여 큰 값을 보인다. TBG가 정상범위에 있어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FT3가 가장 예민한 지표가 된다. 특히 FT4가 정상에서 FT3만이 증가하는 T3-toxicosis를 진단하는데 꼭 필요한 검사이다. FT3는 기능 항진증을 항 갑상선제로 치료하면 갑상선 기능의 각 지표는 정상화되지만 그 시기는 시차를 나타내는데 가장 늦게 정상화된다. 때로는 TT4, FT4가 모두 낮은 치를 보여도 우선적으로 FT3가 정상화하는 증례도 있고, 또한 기능 항진이 재연될 때는 가장 빨리 증가하기 때문에 치료 경과에 좋은 지표로 생각하고 있다. 항진증의 치료의 기능이 정상으로 되면서 TBG는 서서히 정상범위내로 증가하기 때문에 FT3는 TT3보다 치료의 경시적인 변화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검사이다.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는 갑상선호르몬 어느 것이나 감소하는데 T4에 비하여 그 감소비율은 낮고 T4로 보충요법을 하여도 FT3농도는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에 T4에 의한 보충요법을 시행할 경우, FT4가 정상이라도 FT3가 감소되는 경우는 흔히 있다.
그리고 FT4가 증가하고 FT3가 정상인 경우에도 TSH가 증가하는 증례가 있으므로 원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의 지표로서는 TSH가 가장 좋은 지표가 된다. TT4는 말초조직에서 T4의 대사 상태라는 관점에서, FT3는 갑상선에서의 분비 기능면에서 각각 갑상선의 기능상태를 검색할 수 있다.